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별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표현은 뭘까?

by 마포감튀 2025. 5. 14.

별빛을 나타내는 표현들은 무엇이 있을까?

지구에서 바라보는 별들의 밝기는 어느정도일까?

눈으로 보이는 밝기말고 찐밝기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서 별빛의 밝기를 찾아봤다.

 

1. 겉보기등급 (Apparent Magnitude)

우리가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의 밝기

수치가 작을수록 밝고, 클수록 어둡다

태양은 겉보기 등급이 -26.74로 지구에서 보이는 가장 밝은 별이다.

2. 절대등급 (Absolute Magnitude)

별이 지구로부터 10파섹(약 32.6광년) 떨어져 있다고 가정하여 별 자체의 고유한 밝기를 나타낸다.

모두 같은 위치에 있으면 얼마나 밝을까?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고 이것으로 별들의 밝기를 비교해볼 수 있다.

겉보기등급과 마찬가지로 수치가 작을수록 밝다.

3. 광도 (Luminosity)

별이 내는 에너지의 총량을 의미합니다.

태양의 광도를 1 L☉라고 표현한다.

 

4. 광도등급 (Luminosity Class)

별의 스펙트럼과 밝기 수준을 조합해 구분하는 분류.. 라고 하는데 너무 어렵다..
아마도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분류 기준이 아닐까 싶다.

 

예: Ia(극초거성), Ib(밝은 초거성), III(거성), V(주계열성) 등

태양은 G2V형 → G형 스펙트럼 + 주계열(V)

 


별 이름 겉보기등급 절대등급 광도 (태양=1) 광도등급 별자리 비교표

별 이름 겉보기등급 절대등급 광도 ( L☉) 별자리
태양 (sun) -26.74 +4.83 1  
시리우스 (Sirius) -1.46 +1.42 25.4 큰개자리
카노푸스 (Canopus) -0.74 -5.53 10,700 용골자리
알파 센타우리 A (Alpha Centauri A) -0.27 +4.38 1.519 센타우루스자리
아르크투루스 (Arcturus) -0.05 -0.30 170 목동자리
베가 (Vega) +0.03 +0.58 40 거문고자리
카펠라 (Capella) +0.08 -0.48 78.7 마차부자리
리겔 (Rigel) +0.12 -6.69 120,000 오리온자리
프로키온 (Procyon) +0.34 +2.68 6.93 작은개자리
아케르나르 (Achernar) +0.45 -1.46 3,150 에리다누스자리
베텔게우스 (Betelgeuse) +0.50 -5.85 65,000 오리온자리
북극성 (Polaris) +1.98 -3.64 25,000 작은곰자리

 

반응형